# 김도형의 데이터 사이언스 스쿨에서 설명되지 않는 코드들 정리
사이킷런 패키지에서 제공하는 MNIST 숫자 이미지를 활용
plt.figure(figsize=(8,2))
for i in range(8):
plt.subplot(1,8, i+1)
plt.imshow(d[i], interpolation='nearest',cmap=plt.cm.bone_r)
plt.grid(False); plt.xticks([]); plt.yticks([])
1. subplot(행,열,서브플롯)
- 행 : 전체 영역의 행수를 표현 -> 지금 현재 코드에서는 1개의 행
- 열 : 전체 영역의 열수를 나타냄 -> 지금 현재 코드에서는 8개의 열이 있음
- 서브플롯 : 그려지는 서브플롯 위치를 결정 반복문을 통하여 i+1를통하여 1부터 8까지의 서브플롯을 그램
현재 코드는 1행 8열의 영역을 만들고 반복문을통하여 순서대로 선택하여 그리게 됨
2. imshow :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여러 매개변수를 통해 표현함
- d[i] : 이미지 데이터를 표현하여 반복문을 통해 해당 인덱스의 이미지 선택
- interploation : 이미지의 보간방법을 설정
-> 2가지의 보간법 존재 "nearest" : 가장 가까운 픽셀 값을 사용 확대 또는 축소할때 조절하는 방법
"bilinear" : 더 매끄러운 이미지 생성하여 nearest보다 자연스러운 결과물
보간법의 차이
"nearest"
"bilinear"
cmap : 컬러 맵을 지정
사용 방법: cmap=plt.cm.원하는 색깔
칼라맵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웹사이트를 참조
https://matplotlib.org/tutorials/colors/colormaps.html
matplotlib.org
- d 리스트에서 i번째 이미지를 선택하고 nearest보간방법선택함
- 마지막 plt.grid 같은 경우는 눈금선을 제거하는 코드
'Study Note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evel 0 - 머쓱이보다 키 큰 사람 (0) | 2023.10.24 |
---|---|
Visual Studio Code Github 업로드 (0) | 2023.01.12 |